글 수정하기
실전1
<노래>
원필 - 행운을 빌어줘
앞으로 총 몇 번의 몇 번의 희망과
그리고 또 몇 번의 몇 번의 절망과
차가운 웃음 혹은 기쁨으 눈물을
맛보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아무쪼록 행운을 빌어 줘
내 앞길에 행복을 빌어 줘
계절이 흘러 되돌아보면
더 나은 내가 되어 있을 테니
기대해 줘
동요나라 동요친구들 100 - 네잎 클로버
깊고 작은 산골짜기 사이로
맑은 물 흐르는 작은 샘터에
예쁜 꽃들 사이에 살짝 숨겨진
이슬먹고 피어난 네잎클로버 랄랄라
한 잎 랄랄라 두 잎 랄랄라
세 잎 랄랄라 네 잎
행운을 가져다 준다는
수줍은 얼굴의 미소
한줄기의 따스한 햇살 받으며
희망으로 가득한 나의 친구야
빛처럼 밝은 마음으로
너를 닮고 싶어
<정의>
일반적 정의: 행운(Luck)은 사람들이 통제할 수 없는 요소에 의해 발생한 긍정적인 결과를 뜻함.
철학적 정의: 일부 철학자들은 행운을 "도덕적 책임이 없는 결과"라고 봅니다. 즉, 어떤 사람에게 좋은 일이 생겼지만 그것이 그의 능력이나 의지 때문이 아니라면, 그것은 "행운"으로 간주됩니다.
<어원>
한국어에서 '행운(幸運)'은 '행(幸)'과 '운(運)'으로 이루어져 있다.
'행'은 '복'이나 '행복'을 의미하며, '운'은 '운명'이나 '운수'를 뜻한다. 따라서 '행운'은 '복된 운명'이나 '행복한 운수'를 의미한다.
<행운의 상징과 문화>_ 동양
복주머니: 전통적으로 복을 담는 주머니로, 행운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복조리: '복을 조리한다'는 의미로, 행운을 준비하고 맞이하는 상징적인 도구이다.
행운의 부적: 특정한 글귀나 상징을 담아 행운을 기원하는 부적은 한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전역에서 사용된다.
까치 : 좋은 소식을 전해주는 길조.
<행운의 상징과 문화>_ 서양
네잎클로버: 사랑, 희망, 신앙, 행운을 상징.
말굽(Horseshoe): 위로 향하게 걸면 행운을 모은다고 믿는다.
검은 고양이: 영국에서는 길조, 미국이나 한국에서는 흉조로 보기도.
<역사>
명당과 풍수: 조선에서는 후손의 운명을 바꾸기 위해 풍수지리(風水地理)를 중시한다. 좋은 명당에 묘를 쓰면 자손이 번창한다는 믿음은 ‘행운’을 물려주는 방식 중 하나이다.
꿈 해몽(몽서): 태몽이나 일반 꿈에서 용, 용알, 호랑이 등을 보는 꿈은 ‘길몽’으로 해석되어 큰 행운이나 출세의 상징으로 여겨짐.
점복 문화: 관상, 사주팔자, 윷점 등을 통해 운명을 점쳤고, 이는 개인의 행운을 가늠하는 기준이 되기도 했다. 왕실에서는 특히 이와 관련된 도참(圖讖, 예언의 그림)도 중요하게 여겼다.
<도서>
행운 사용법 / 저자 김민기 조우석
하버드 MPA와 듀크 MBA의 연구자들이 행운의 개념과 이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 책이다. 이 책에서는 행운을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긍정적인 사고방식과 행동을 통해 유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행운의 법칙 / 저자 리처드 와이즈먼
그는 10년간 '운 좋은 사람'과 '운 나쁜 사람' 수백 명을 인터뷰하고 관찰했다. 그 결과, 운 좋은 사람들은 더 낙관적, 개방적, 관찰력이 뛰어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는 “운은 우연이 아니라 태도와 행동의 산물”이라 주장한다.
<우연히 발견된 것들>
페니실린(알렉산더 플레밍): 실험 도중 실수로 발견 → 의학의 대전환
마이크로파(전자레인지): 레이다 실험 중 초콜릿이 녹으면서 발견
<종교>
기독교: ‘행운’보다는 ‘하나님의 축복’으로 해석한다. 신의 뜻과 은총.
불교: 전생의 업(業)에 따라 행운과 불운이 결정된다고 믿는다. 복은 기도로 쌓는 것.
무속신앙: 한국에서는 굿을 통해 액운을 막고, 행운을 부른다.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