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정하기

퇴고2

사랑일지(love diary or is it love)

2016년 5월 5일

약속했다. 힙합이 흘러나왔고 파란색 술을 마시며. 확인했다. 지하철로 걸어갔다. 데려다주고 집에 가는 길 지하철에 비친 나의 모습은 낯설었다. 히죽히죽 친구에게 전화 걸었다.
“야 나와 맥주 살게”
구구절절 말했다. 이정도는 술값이라 쳐라. 감정을 눌렀지만 참을 수는 없다.
”그래서 어떻게 말했냐“
“그냥 보여줬어”
나의 일기를 보여줬다. 내 일기는 주제가 없이 흘러가다 너로 끝났다. 의도한건지 아닌지. 가방에 일기장이 있었고 보여줬다. 그간 썻던 것들을. 같이 지내온 1년이 다 적혀있었다. 매일 적진 않았지만 쓸 때마다 너의 얘기 뿐이였다. 일기를 쓴 게 아니다. 어떤 속풀기 용이다. 일기는 뒷전이였다 사실은.

2016년 8월 9일

비가 온다. 비 오는 날 나가기는 정말 싫다. 신발이 다 젖고 양말도 다 젖는다. 찝찝한 건 딱 질색이다. 비가 오는 날엔 집에서 나가지 않는게 나의 원칙이다.
너에게 전화가 왔다. 저번에 얘기했던 농구 대결을 하잔다. 일단 나갔다. 장난이겠지. 아니면 실내에 농구 할 장소가 있나보다하고. 다이소 앞에서 만났다. 각오를 다진듯한 표정의 여자가 서있었다. 뭐지. 처음보는 진지한 눈이다. 너무 진지한 모습에 처음에는 못 알아봤다.
결국 야외 농구장에서 대결을 시작했다. 핸디캡을 줬다. 한손만 쓰기. 한손만 쓴다고 해서 결과에는 영향을 끼칠 수 없다. 하지만 너의 눈은 너무 슬퍼 보여서 져 줄 수 밖에 없었다. 끝나고는 물었다. ”왜 비오는 날 농구를 하자는 거야?“ 너는 대답했다. 그래야 이길 수 있을 거 같았거든 졌으니까 소원 들어주기야!”

2016년 8월 18일

원망했다. 계속 잠만 잤다. 낮에 일어나고 낮에 잤다. 눈이 아파서 눈을 감을 수 밖에 없었다.
처음에는 무감각했다. 일단 담배를 샀다. 마일드 세븐. 내가 아는 담배 중 가장 독한 담배이다. 한번에 여덟대를 피웠다. 집 앞 가로등은 나를 비췄다. 집에 들어가서 생각만 하다가 잤다. 눈을 감았지만 사실 잠은 오지 않았다. 생각에 생각 꼬리를 물었다. 내가 잘못한 점에 대해서 생각과 생각. 표정이 바뀐 그 날에 대한 생각. 나의 존재를 의심했다. 결국 소원은 빌지 않았다. 소원이 이건 아니겠지.
찢어졌다. 눈물은 나오지 않았다. 실감이 안나서 일주일 정도 멍했다. 영화를 보는데 또 잠이 왔다. 분명 하루종일 잤는데도. 하지만 현실로 돌아와야지. 상실감도 질린다 이제는.
낮에는 후배 이름을 부르는데 잘못 불렀다. 너의 이름을 불렀다. 아 아직도 남아있구나 일주일은 너무 짧았나.

내게 말했다. 나의 눈을 똑바로 쳐다보며. 사랑은 유리잔 같은 거라고. 유리잔이 깨졌다며 깨진 유리는 도저히 되돌릴 수 없는 거라고 떠났다. 마음껏 상상할 수 있을 때 상상하려고 상상을 참았다.

2016년 8월 23일

9:50분에 일어났다. 10시 출근인데. 일어나자마자 양치도 못하고 출근했다. 18시 퇴근하기 전까지는 의미는 없다. 생각을 비우고 일만해서. 문득 문득 망상과 생각이 떠오르지만 사소하고 의미 없는 것들이라서 무시했다.
바쁘고 단순하게. 생각은 거의 게워냈다. 머리가 조금 아팠다.
사무실에 근무시간을 작성하고 인사를 하고 퇴근한다. 운동을 해야하니 헬스장을 가야된다. 오늘은 힘들어서 공을 들고 나갔다. 축구공이지만 혼자서는 축구공으로 농구를 한다. 2시간 자유투, 3점, 드리블 연습을 마치고나면 집으로 가서 씻는다. 저녁은 냉동고 구석에 곱창전골이다. 소주도 한 병. 일기?를 적어내리면서 다음주에는 제주도를 가야겠다고 생각했다.
이러다 결국 잠에 든다.
여름은 습하면서 찝찝하고 쨍쨍할 땐 몸이 탈 것만 같다. 비가 오면 우산을 들고있는 쪽은 너였다.

2016년 8월 30일

제주도에 도착했다. 주머니 사정이 여유롭지 않아 밤에 도착했다. 제주는 생각의 땅이다. 숙소는 협재 해수욕장 근처로 잡았다. 일찍 자야겠다.
내일은 일찍 일어나 수영을 할 것이다. 물에 있으면 자유로워진다. 자유형이나 배영이 아니라 일단 물에 뜬다. 그러면 코, 눈 이마만 물 밖에 나와있고 귀는 물속에 담겨있어 웅웅거리는 소리만이 들리고 눈으로는 맑은 제주 하늘만을 볼 수 있을테지. 얼른 자자

2016년 8월 31일
아침에 바다로 향했다. 바다 물은 조금은 차웠다.
네가 말한 유리잔에 대해서 생각해보려 바다에 들어갔다. 이곳에서 모든 상상을 끝냈다.

너는 우리 관계에 금이 간 것이 아니라 산산조각이 나버려 고칠 수 없다고 했지.
아무 말도 하지 않을 거야. 주워 담을거야. 유리의 조각들을. 모래사장에 뿌져져있는 유리의 조각들을 찾을 거야 하나씩 하나씩. 가끔씩 손톱 밑에 피가 나겠지. 피가 굳기 전에 모래에 다시 손을 집어 넣어. 몰려오는 파도에 모래를 씻으려 손을 넣으면 정말 시큰거려. 그럴수록 더 빨리 모래안에 조각들을 빠르게 찾아.
밤이되면 찾을 수 없어 달에 구름이라도 끼는 날에는 너무 캄캄해서 모래에 손을 넣고 뭔가에 찔려면 그걸 통에 담아.
주워담을거야 찢어진 유리 조각들을 다시 이어야만 해. 꼭 해야만해

상상이 끝나니 몸이 심하게 떨렸다. 너무 추워서 몸이 얼까 두려워 숙소로 향했다.

2016년 9월 1일

대구로 왔다.
미지근하다. 내 삶은. 여름에서 겨울로 갈 때와 겨울에서 여름으로 향할 때 그 사이. 미적지근하며 황혼같은 그 ‘사이’가 존재한다. 난 그 사이의 중간에 위치해 있다. 전에는 생명력이 넘치는 여름이다. 미적지근한 지금 다음 계절은 겨울인 것을 알지만 혹시나 다시 여름이 올까봐 두렵다.
일을 그만둬서 일찍 일어날 필요는 없지만 내 몸은 9시면 일어난다. 일어난 김에 지금 일기장을 열어 말을 걸고 있다.
앞으로의 계절이 여름일지 따뜻해 보이지만 얼음 덩어리인 눈이 내리는 계절인지 뭐가 될지는 알 수 없다. 파도와 같이 밀려오면서 높고 낮은 것들만이 있을 뿐이다.

(14.4매)

0

0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