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정하기

퇴고

사랑이란 무엇인가요?
이 질문이 이토록 어려웠는지 몰랐습니다. 사랑 중 나에 대한 사랑은 쓸 수 있어요. 가족 간의 사랑에 대해 쓸 수 있어요. 그건 모두 자만이었어요. 뭐 하나 정의 내리지 못했어요. 사실 사랑에는 정의는 없을지도 몰라요.

모든 것을 내려놓고 사랑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아요. 사랑. 자꾸 하나로 정의를 내리려는 나였어요. 아무것도 없이 답을 내리려 하니까 어려움을 느꼈던 것 같아요. 음. 사랑을 언제 쓰는지 물어보는 걸로 시작해보기로 해요.

어버이날, 감사와 사랑을 표현해요. 스스로를 위해 요리하고 운동할 때면 나를 사랑한다고 해요. 연인에게 사랑을 표현해요. 아주 일반적이죠.

조금 더 구체적이면서 다양하게 가볼까요?

강아지가 너무 사랑스러워요. 디자인이 lovely하다. 엄마의 밥상을 보며 '이게 사랑이지' .

뭔가 아쉬워요.
그렇다면 사랑이라고 말하지 않지만 사랑이 느껴지는 말과 행동은 뭐가 있을까요?

오후, 마트에서 수많은 식재료들 사이에서 신중하게 골라와 따뜻한 밥상을 차려주시는 어머니. 길을 걷다가 바닥을 바라보며 종종 걸음 속도를 맞추려고 노력하는 여자친구를 위해 조금씩 속도를 늦춰주는 남자친구의 모습. 맛있게 먹는 연인을 보면 나도 모르게 나오는 웃음. 언어가 통하지 않는 곳에서 서투른 몸짓과 번역 앱으로 요청한 도움에 선듯 나서서 도착지까지 데려다 주는 외국인. 혼자 여행 중 사진을 부탁했을 때 열심히 찍어주려고 하는 한국인.

사랑이라는 단어에 매달렸을 때보다 더 많은 이야기가 나와요.
공통점이 보이네요. 바로 타인에게 중심이 가있다는 것. 행동을 모두 ' '를 위해 한다는 것. 가족들을 위해 요리를 해주시는 어머니. 연인을 위해 배려하고 맛있어 하는 모습에서 느끼는 행복감. 연고가 없는 사람이 잘 도착하길 바라는 마음에 돕기 위해 움직임. 모두 타인이 보다 더 편하고 좋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하여 행동으로 표현돼요. 그렇다면 나에 대한 사랑은? 이라고 물어볼 수 있어요. 똑같은 공식을 대입해보아요. 행동을 '나'를 위해 한다는 것. 그것이 나에 대한 사랑이지 않을까요. 스스로가 건강하고 심리적 안정을 느끼게 하기 위해 맛있고 건강한 음식을 해서 먹는 거요. 그리고 운동을 하고 좋아하는 공간에서 즐겨 듣는 음악을 튼다. 이것이 사랑이에요.

사랑이라는 단어는 이런 행동들을 못 알아채는 불상사를 막기 위해서 쓰는 것이 아닐까. 내가 사랑하는 연인을 위해 마음에서 행동으로 전했는데 알아채지 못해 방황하고 있을 때 사랑해 라는 말로써 보듬어주는 것이다. 나의 행동들이 다 사랑임을 다시금 알려주는 것이다. 스스로 위태로워 힘이 들 때 도와주는 사람 아무도 없는 것 같고 세상 혼자인 느낌을 받는 때가 있다. 그때 요리를 하여 든든히 챙겨 먹는 것으로 나를 사랑하는 것이다. 물론 요리가 아니어도 된다. 좋았던 곳, 맛있는 디저트를 먹는 것도 좋다. 그 말로써 지금 혼자면 어떠하리, 세상에 즐길 것은 많고 맛있는 음식들이 있다며 버티는 힘이 생기는 것이다.

사랑이라는 말은 시작이 아니다. 마음 - 행동 - 말의 순으로 나오는 것이다. 상대를 배려하고 존중하는 마음에서 나와 행동을 하고 알아채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하는 말이 사랑이다. 그렇기에 "나는 너를 이만큼 사랑하는데 너는 왜 그래", "사랑하니까 그러는 거야!"와 같은 말에서는 사랑을 사용하면 안된다. 그것은 솔직하지 못하기에 사랑이라는 말로 포장하고 방어하는 것이다. 마지막 단계인 말로 표현되는 사랑은 굉장히 따스함과 동시에 무게가 있는 말이다. 소중한 단어를 험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할 것 같다. 사랑을 소중히 대하면 타인에게 나눈 따뜻한 마음이 다시 되돌아와서 나 또한 따뜻하게 하기 때문이다.

거창한 사랑이 아닌 소박한 사랑.
길가의 예쁜 꽃을 보고 기분 좋아져서 친구와 가족 등 사랑하는 사람에게 보내어 함께 행복해지는 사랑. 그런 사랑을 늘 하고 싶다. 몽글몽글, 작은 사랑들이 모여 나를 형성하는 것이다. 사랑으로 만들어진 나는 어쩌면 단단할지 모른다. 어떤 찬바람과 힘듦이 있어도 나를 지지해주는 곳들이 사방에 있으니 말이다.

사랑을 해보아요.
그렇게 오늘도 따뜻한 하루가 되길 바랄게요.

(10.2매)

0

0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