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정하기

초고2

“현주이!!!!”
흐릿하게나마 보이던 현준의 형체가 갑작스레 사라지자 우석은 놀라 소리쳤다.

해가 가장 길다는 6월이었지만 비슬산의 어둠은 무턱대고 산길을 내려가던 현준과 그 친구들을 완전히 덮어버렸다.

그날은 6월 모의고사 날이었다. 현준과 친구들은 일찍 마친 기념으로 여름방학동안 자전거타고 놀러올 계곡을 찾아본다며 비슬산으로 달려간 것이다.

”끼이익- 턱 턱, 턱턱“

현준이 쓰러진 주위로 뒤따르던 친구들이 하나 둘 도착했다. 그들은 아직 정신을 차리지 못한 현준을 우선 갓길로 옮겼다.

“현주이! 현주이! 정신차리라! 개안나?”

그 소리에 눈을 뜬 현준이었지만 아직 상황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는 듯 했다.

‘내가 왜 누워있지? 여긴 어디지? 다리가 아프네. 그러고 보니 팔은 따갑고. 뭐지?..? 계곡… 계곡이란 단어가 왜 떠오르지? 어? 우석이네, 아! 비슬산에 계곡보러 왔었는데.?! 응?’

생각이 그쯤 이어지자 현준은 쓰러지기 직전 상황이 떠올랐다.

현준은 가장 선두에 서서 산길을 오르고 있었다. 그렇게 힘겨운 오르막길이 끝나고 내리막길이 시작되자 ”내리막길이다!!“란 짧은 외마디 소리침과 함께 쏜살같이 내려간 것이었다. 지겹게 오르막을 오르느라 터지기 직전이었던 허벅지와 스트레스로 조심해야한다는 생각은 사라진지 오래였다.

그렇게 스피드를 즐기던 현준은 반대방향에서 오는 차들이 그제서야 신경이 쓰이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자신에게 향하는 헤드라이트에 눈이 잠시간 멎는 게 가장 거슬렸다. 하나의 불안이 시작되자 두려움은 현준의 머리 속에서 하나둘 피어 났다.

‘와, 그러고보니 속도가 너무 빠르네. 이거 속도가 빨라서 핸들을 많이 꺾을 수가 없네. 우오오…… 이거 좆되겠는데?’

빠른 속도로 내려가는 현준의 자전거는 커브길에서는 가드레일에 거의 부딪힐뻔 하며 겨우 겨우 코너길을 빠져나가고 있었다.

그렇다고 브레이크를 빠르게 잡을 수도 없었다. 급하게 브레이크를 잡았다간 바로 미끄러질 것이 뻔했다.

’우선은 반대편 차들이 나를 보게 해야겠어. 왼쪽 주머니에 핸드폰이 있으니 핸드폰을 꺼내 후레쉬를 켜야겠다. 그리고 오른손으론 살살 브레이크를 잡아야…‘

그것이 현준의 마지막 기억이었다.

쓰러진 현준을 우석과 친구들이 일으켜 세웠을 때, 현준은 오른쪽 어깨 쪽에 강한 통증을 느꼈다. 오른팔과 오른 다리는 아스팔트에 쓸려 거의 전체가 다 까져서 피가 나 쓰라렸다. 어깨와 팔 다리의 통증으로 머리에 있던 상처는 병원에서 의사가 발견해주기 전까지는 인지하지 못했던 현준이었다.

까딱했으면 죽을 뻔 했던 그날의 기억이 갑작스레 떠올랐던 건 두돌이 갓 지난 아들이 킥보드를 타다 넘어져 울음을 터뜨렸을 때였다.

’그날 우리 아빠는 왜 오지 않았을까.‘

다 부서진 자전거를 질질 끌며 현준은 홀로 어두운 집으로 들어왔다. 친구들이 데려다주려 했지만 이미 늦어진 시간에, 집이 다른 방향이기도 했기에 현준은 애써 애둘러 친구들을 집으로 보냈었다. 10대 남학생의 괜한 자존심도 역할을 했겠지만 말이다.

“아빠, 나 자전거 타다가 넘어졌어”

아내와 이혼을 한 뒤, 현준의 아빠는 홀로 현준과 현준의 누이를 보살피고 있었다. 하지만 바쁜 회사 생활과 이혼 후 찾아온 헛헛함에 새로 생긴 애인까지, 집을 비우는 일이 잦았다. 현준의 누이는 타지에서 직장을 다녔기에 집에는 언제나 현준 혼자 있을 때가 많았다.

자전거 사고가 난 그날도 역시나 집에는 아무도 없었다.

“괜찮냐? 병원은 안갔고”
내심 놀란 목소리로 현준의 아빠가 물었다.

“일단 집으로 왔는데 어깨가 좀 많이 아파서 병원 가야될 거 같아”

“혼자 갈 수 있겠나?”

“… 어. 택시타고 가면 될 거 같다”

“그래, 뭔일 있음 전화해라이”

.
“읏챠. 괜찮아 아들. 어디보자. 어디 아야했어?”

아들을 일으켜 세우며 현준은 아들이 다친 곳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다행히도 크게 다친 곳은 없어 보였다.

‘아빠는 날 사랑하지 않았던 걸까’

아들이 태어난 뒤, 아들에 대한 사랑이 커져갈 수록 현준의 마음 한 켠엔 알 수 없는 쓰라림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응급실로 걸어가던 어린 현준의 마음 속에서 엄마아빠의 이혼으로 조금씩 옅어져 가던 가족의 사랑이란 것이 완전히 지워졌다. 한번 지워진 그 자리에서 이따금 지우개똥 같은 것이 생겨났으나 현준은 언제나 그 자리를 수십번 수백번 어설픈 이해라는 것으로 덮곤 했다.

그렇게 지우고 덮었던 가족의 사랑이란 것이 결혼과 출산, 그리고 육아를 통해 다시금 쓰여진 것이었다.

아빠로서의 현준의 가족애가 커져갈수록 아들로서의 현준의 어설픈 이해들의 끄나풀들은 이제는 이해가 아니라 이해할수 없는 것들로 변해가고 있었다.

‘아들이 다쳤다는 데 와보지도 않는다고? 그게 가능해?’

언젠가 현준이 아빠에게 그날의 이유에 대해 물어봤을 때, 현준의 아빠는 니가 안와도 된다고 해서 큰일이 아닌 줄 알았다 라는 식으로 얼버무리며 넘어가곤 했다.

——-

(12.2매)

2

0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