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정하기
제목
<아무 말 없이 물잔을 채워 주는 마음> or <달콤한 소금>
일상에서 사랑을 표현하는 것들_
마주 보며 이야기 할 때 눈이 부시지 않게 슬쩍 몸으로 햇빛을 가려 주는 것
베이글 맛집이래, 슬쩍 건네는 디저트
하늘이 예쁜 날 주고 받는 푸른 사진
아무 말 없이 물잔을 채워 주는 마음
노을을 바라보다 그 사람을 보며 그간의 추억들을 투영시키는 순간
이 사람이 나를 한껏 사랑하다 울게 되면
마음이 아픈 게 사랑일까
귀여워서 웃음이 나는 게 사랑일까
사랑에 대해 생각하다 보니
내가 했던 것들은
정말 사랑이었을까, 고뇌에 빠졌다.
그 사람을 사랑했던 걸까
사랑받는 시간을 사랑했던 걸까
사랑을 주는 나를 사랑했던 걸까
어떤 것이던 사실은 사랑이긴 했을까.
단점을 품어줘야겠다, 생각해 본 적 없다.
이 사람을 놓게 될 순간을 대비하여
나는 항상 그 사람의 부족한 점을 머리에 꾹꾹 눌러 담았다.
심지어 나에게 준 상처를 메모장에 기록해 둔 적도 있었다.
끝을 지을 때 마음 약해질 나를 대비하여,
헤어진 후에 그가 미치도록 그리워 질 때 내 결정이 옳았다는 것을 확인받기 위하여.
그래서 나는 매번 사람을 놓는 것에 익숙했다.
많은 이들을 떠나보냈고, 어떤 것에도 간절함이 없었다.
항상 이별은 준비되어있었다.
어떤 것이던 지나치게 사랑하지 않았다.
나에게도, 가족에게도, 친구에게도 마찬가지였다.
사랑에 빠진 적이 없다.
누군가를 사랑하게 되면 애틋함은 늘 따라붙었다.
이 사랑이 언젠간 나를 아프게 하겠지.
하지만 나와 함께하는 사람을 다치게 하지는 않았다.
마음과 노력이 항상 비례하지는 않는다.
상대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과 그대로 해 주는 것이 어렵지 않다.
어떤 대화를 흥미있어하는지, 어떤 것에 행복함을 느끼는지 아는 것이 즐겁다.
나와 함께하는 시간이 그 사람에게 휴식이자 즐거운 일이 될 수 있게 만든다.
내 마음의 거리는 좁히지 못한 채 상대방을 끌어당긴다.
나는 잔인한 사람이었을까
내 사랑의 총량을 다해 사랑을 품게 되면, 다친다는 것을 알았다.
나는 풍요롭게 사랑하지만, 온전히 백을 다한 사랑을 하지는 못한다.
내가 가진 사랑의 총량은 다른 사람들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알아서.
지금 내가 사랑하는 모든 것들이
언제든지 내 곁을 떠나가도 나는 울지 않는다.
슬프지 않다.
항상 이별을 마음에 새긴 채 살아간다.
나는 혹시 헤어지는 순간도 이별 뒤에도 이 마음이 아직 사랑일까
사랑하는 것이 행복하다.
나라는 사람을 표현하자면 사랑이다.
그렇기에 세상의 모든 것을 사랑하고 있다 말한다.
정의내릴 수 없이 오묘한 무언가, 투명한 마음, 닿는 시선, 나리는 바람, 완벽한 온기
하지만 이 모든 것들이 사실 사랑이 아니라면,
아니면 더이상 사랑하지 않는다 말하는 순간마저 아직 사랑이라면.
나는 사랑이 없는 세상에 살아가는 걸까, 온통 사랑인 세상에 빠져있는 걸까.
그저 내 사랑의 온도가 춥거나 덥지 않은 정도를 빨리 찾은 거라 생각하며 불을 끈다.
<애착 유형>
안정형, 불안형, 회피형이 있다.
안정형은 말그대로 안정적으로 사랑을 주고 받을 줄 아는 사람이다.
불안형은 상대방의 사랑에 집착하고 나를 사랑하는지의 여부에 대해 불안해하는 사람이다.
회피형은 속마음을 보이는 것을 꺼려하며 다른 사람을 의지하는 것을 불편해하는 사람이다. 거리
를 두는 습관이 있다.
그리고 불안형과 회피형의 결합인 혼란형도 있다.
사람을 신뢰하는 동시에 두려워하며, 모순적 관계 형성 양상을 띤다.
혼란형이 되는 요인으로는 부모의 이중적 태도, 어린 시절 트라우마, 불안정한 부모의 정서, 사회
적 요인 등이 있다.
애착 유형은 주로 어릴 적 가정환경에서 형성된다.
지속적인 관심, 돌봄이 애정의 강력한 기초가 된다.
안정형 애착 유형에 해당한다면, 사랑을 주고받는 것에 있어서 대체적으로'자신감'이 있다.
연인과 갈등이 생겼더라도 이해와 인내를 통해 잘 해결하려고 한다.
불안형 애착 유형에 해당한다면, 친밀하고자 하는 욕구가 너무 강해서 때로 연인에게 버려질까 봐
두려워한다.
끊임없이 걱정하고 사랑을 확인하려고 한다.
이 유형은 어린 시절 부모에게 착하게 행동하거나 기준을 충족했을 때만 애정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회피형 애착 유형에 해당한다면, 연인과 친밀해지면서 나의 약점을 드러내는 것을 무서워한다.
그래서 상대보다 나를 훨씬 더 의지하려 하고, 상대와 정서적으로 친밀해지지 않으려고 할 수 있
다.
애초에 거절 당할 상황 자체를 만들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다.
너무 가까운 관계가 나의 독립성을 침해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된다.
혼란형 애착 유형에 해당한다면, 다른 사람에 관한 깊은 불신 때문에 관계에 혼란을 느낀다.
어린 시절에 부모가 일관적이지 않은 예측 불가능한 양육 방식과 트라우마로 인해 형성된다.
이렇듯, 어린 시절 가정에서 가장 먼저 관계가 맺어지는 부모로 인해
평생 개인의 사랑에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이것은 어렵지 않게 바꿀 수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자존감'을 높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자신을 먼저 사랑해야, 다른 것들에게 사랑을 줄 수 있다.
내가 가진 사랑으로 먼저 나를 채운 후에서야 안정적으로 사랑이 밖으로 흘러갈 수 있다는 것이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