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정하기

퇴고2

< 앨리스의 모험, 우리의 사랑 >

사랑은 종종 예측할 수 없는 모험처럼 펼쳐진다. 이는 소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전개방식과 상당히 비슷하다. 흰토끼의 갑작스러운 등장으로 인해 앨리스의 여정이 시작되고, 그녀 앞에 수많은 광경이 펼쳐지는 것처럼 사랑도 언제, 어디서, 누구로 인해 전개될지 예상할 수 없다. 또한, 주인공 앨리스가 여정 속에서 여러 시련을 헤쳐 나가며 성장하는 모습은 우리들의 러브 스토리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앨리스의 여정이 그녀의 ‘호기심’을 기반으로 시작되듯, 사랑의 첫 단계에서도 ‘호기심’은 큰 역할을 한다. 전공 수업에서 교수님이 하신 말씀이 떠오른다. “사랑은 모르는 영역에 희망을 갖고 들어가는 것이 아닐까요? 미지의 영역에 희망을 품고 들어가서, 고통을 느끼고 나서야 깨닫는 것이 사랑 아닐까요?”
내가 생각하는 사랑의 시작과 굉장히 닮아 있는 문장이었다.
소설 속에서 앨리스는 뛰어가는 흰토끼를 발견하고는 호기심에 이끌려, 쫓아 따라가기 시작한다. 앨리스는 곧 토끼 굴로 떨어지게 되고, 그곳에서 발견한 새로운 세계에서 본격적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사랑도 그렇게 얼떨결에 시작되며, 쉽게 예상할 수 없다. 앞으로 어떤 변수와 시련이 닥칠지 모른다. 그럼에도 우리는 그 미지의 영역에, 무엇인가 대단한 게 있을지도 모른다는 모종의 희망을 품고 새로운 차원에 기꺼이 뛰어든다.

두 번째 단계는 ‘여는 문’이다. 소설 속에서는 새로운 차원으로 들어가기 위한 관문이 하나 등장한다. 그러나 그 문은 앨리스의 몸집에 맞지 않아 그녀는 한참 동안 고군분투한다. ‘나를 마셔요’라는 쪽지를 발견하고 병에 든 음료를 마셨더니 앨리스의 키는 난데없이 줄어들고, 케이크를 먹자 이번에는 무지하게 키가 커진다. 우여곡절 끝에 앨리스는 결국 그 문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사랑의 과정에서도 역시 관문이 존재한다. 우리는 상대의 세계에 들어가기 위해 스스로를 줄이기도, 늘리기도 해야 한다. 서로 다른 두 사람이 만나는 것은 마치 거대한 두 세계가 만나는 것과 같아, 여차하면 충돌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처음으로 깊이 들여다본 타인의 내면은 충격적이고, 신비롭고, 때로는 상대가 ‘이상한 나라의 이상한 존재’로 느껴지기도 한다. 따라서 우리는 서로에게서 발견한 간극을 메꾸기 위해 계속해서 공유하고, 다듬고, 자신의 자아라는 거친 돌멩이를 깎아 나간다.
이것은 서로가 각자의 차원에서 벗어나 상대방의 차원과 합해지려는 과정이므로 ‘여는 문’이다. 사랑은 꽁꽁 닫혔던 자신의 세계를 활짝 열어 상대방을 맞이하는 문과 같다. 그리고 이때 열린 문은, 오로지 연인에게만 국한되지 않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확장되어, 곧 타인을 더 이해하고 존경하며 사랑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즉 사랑은, 좀 더 넓은 세상을 향해 나를 열게 하는 문이 되기도 한다.

세 번째는 소설 속 주인공이라면 한 번쯤 꼭 겪는 과정, ‘시련’이다. 앨리스는 소설 속에서 다양한 시련을 맞닥뜨린다. 자신의 몸이 시도때도 없이 커지기도, 작아지기도 하고, 여러 이상한 인물들을 만나게 되며, 어떨 땐 카드 여왕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홍학으로 크로케를 해야하는 지경까지 온다.
사랑의 과정에서도 우리는 여러 시련을 마주하게 된다. 나를 제외한 또 다른 거대한 존재를 받아들이고, 그의 문에 나의 몸뚱아리를 끼워 맞추는 과정이 마냥 순탄치만은 않다.
그러나 그 과정 속에서 우리는 이기적이었던 자신을 잠시 돌아보게 되며, 이타적으로 변하는 나의 모습을 목격하게 된다. 상대를 위해 나의 소중한 시간을 내어주고 아낌없이 돈을 쓰려하는 나, 성가심을 이겨내고 상대를 대신해서 여러 불편을 감수하는 나.. 등 비효율적이고 수고로운 나의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철학자 강신주는 말한다. ‘얼마나 수고롭느냐’는 곧 ‘얼마나 사랑하느냐’라고. 수고로움을 계속해서 감수하게 된다면 그것은 결국 사랑의 결정적 단서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시련은 우리가 상대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확인시켜주기도 하고, 동시에 나의 사랑을 시험에 들게 한다. 그 사람을 위해 수고로움을 계속해서 감수할 것인지, 상대를 향한 내 사랑의 깊이와 방향성을 평가해 보는 시간이 온 것이다.

마지막은 ‘열린 결말’이다. 이 모든 경험이 마치 꿈이었다는 듯, 앨리스는 언니의 무릎에서 잠이 깬다. 앨리스는 ‘이상한 나라’에 머무는 대신, 자신이 있던 세계로 돌아가기를 택한다. 떠나기로 한 이상, 모험에서 만난 정든 인물들과 다음 만남을 기약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후 앨리스에게 또 어떤 모험이 펼쳐질지 그 누구도 알 수 없다.
그렇다면 사랑의 결말은 어떻게 해석될까? 지속된 사랑의 끝은 상대의 차원에 머무르는 것일까?해피 엔딩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은 과연 결혼뿐일까?
나는 사랑의 최고봉이 꼭 결혼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나는 사랑에 있어서, 결과보다 과정중심주의이다. 진심으로 사랑했다면 그 사랑의 잔재는 거름이 되어 나의 몸에 쌓였을 거다.
‘이루어지지 못한 사랑’이라는 칭호도 지겹다.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아니다. 이루어졌다가 다시 흩어진 것일 뿐. 마음을 다해 사랑한 순간이 분명 있었다면 그것은 이미 이루어진 것이다. 될 때까지 최대한 하되, 결과는 작가의 의도에 맡기는 거다.
앨리스에게 주어지는 두 갈래의 길을 다시 생각해보자. 새로운 차원의 세계에 머물 것이냐, 혹은 원래 있었던 지상의 세계로 되돌아갈 것이냐. 전자라면 영원의 약속을 지키면 되고, 후자라면 시선을 잠시 거두어 자신을 가꾸며, 새로운 사랑을 향해 다시 열려 있으면 된다. 언제 또 일어날지 모르는 모험을 향해서.

(13.7매)

1

1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