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독법] (1)'확인됐다'에는 기자의 자존심이 묻어있다
2024.09.04  ·   by 크리스

'알려졌다'와 '확인됐다'의 차이는?

*<기자가 기사를 읽는 법>은 뉴스를 자주 보는 대학생, 혹은 언론계에 막 발을 디딘 수습기자들이 기사를 좀 더 풍부하게 읽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쓰는 글입니다. 솔직히 저도 잘 모릅니다. 그래도 일단 써봅니다.

흔히 기자를 교도소 담장 위를 걷는 직업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그렇습니다. 매 순간까진 아니더라도, 그렇게 느껴질 때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권력자의 비리를 고발하는 특종을 썼다가 검찰에 불려 간 선배가 말했습니다. 검사와 수사관들이 자기가 쓴 기사를 들고 와 한 줄 한 줄 밑줄을 치며 으름장을 놓더랍니다.

“∼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거 어디서 전해 들은 거죠?”
“∼으로 알려졌다고요? 어떻게 알려졌다는 거죠?”
“∼인 것으로 확인됐다라.. 확인해 준 사람이 누군데요?”

기사를 문장 단위로 쪼개 기자를 몰아붙이는 것이죠. 선배는 다행히 풀려났지만 거기서 삐끗했으면 교도소 쪽으로 떨어졌을지도 모릅니다. 아찔하죠.

그래서 기자들은 '위험한' 기사를 쓸 때 몹시 신중해집니다. 그것이 설령 사실이라도 누군가의 명예를 실추시킬 것이 뻔해 보이는, 보도 당사자가 적극 부인할 성범죄나 권력형 비리 등을 다룰 때 기자는 철저한 계산과 의도를 갖고 단어를 고릅니다. 거칠게 말해 언제 수사기관에 붙들려 갈지 모를 일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그럴 일이야 잘 없지만 동시에 언제나 가능한 일이기도 합니다. 이런 불안감은 기자들 머릿속 한편에 늘 존재합니다. 그래서 기자가 하는 일이 ‘확인’입니다. 누구나 납득할 만한 충실한 확인(취재) 과정을 거쳤다면 이런 불상사를 어렵지 않게 피해갈 수 있기(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법정에서 중요한 것은 실체적 진실보다 기자가 그렇게 믿고 보도할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는지, 사실관계 확인을 위해 기자가 얼마나 노력을 했는지 여부입니다. 설령 ‘팩트’가 틀렸다고 해도 말이죠.


그래서 기자들이 ‘확인’이란 단어를 쓰는 것에는 꽤 복잡하고 다양한 의미가 담겨있습니다.

당연하게도 기자 한 명이 모든 사건사고의 배경과 이유, 흐름을 빠짐없이 파악하기란 불가능합니다. 시간이 넉넉하고, 해당 사안에 대해 잘 아는 양질의 취재원이 있다면야 가능하겠지만 그런 호사를 누리는 경우는 현실에서 잘 없습니다. 기자들은 자기 회사나 타사의 믿을 만한 기자들의 선행 보도로 뼈대를 세운 뒤 새로운 팩트를 찾는 식으로 취재를 하곤 합니다. 일단은 앞서 보도된 내용들이 맞을 것이라 가정하는 것이죠.(물론 핵심적인 팩트는 반드시 확인 과정을 거칩니다)

다만, 이렇게 알게 된 사실들은 ‘∼로 알려졌다’ 혹은 ‘∼인 것으로 전해졌다’고 씁니다. 기자 본인이 직접 보거나, 들은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것도 더 구체적으로 따지면 미묘하게 차이가 있습니다. ‘알려졌다’는 통상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진 사실이란 뜻이고, ‘전해졌다’는 어떤 취재원으로부터 전해들은 사실이란 뜻입니다.

‘알려졌다’는 앞에 (세간에), (해당 업계에), (언론계에)를, ‘전해졌다’는 (어떤 취재원으로부터), (앞선 언론 보도를 통해)가 생략돼 있다고 생각하면 얼추 맞습니다. 실무적으론 거의 같은 맥락에서 쓰이며, 때때로 제보자, 그러니까 취재원 보호를 위해 일부러 이런 식으로 기사를 작성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확인됐다’는 다릅니다.

기자가 직접 사실관계를 확인했으며 이를 보증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말하자면 이런 늬앙스입니다. ‘충분한 취재를 통해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을 기자가 직접 눈으로 봤다.’

... 원문 보기

크리스
@yoorak_coffee_roasters
안녕하세요!
작성글 보기